본문 바로가기

과학철학이야기

21세기 물리학의 전망

1244614073_308191.hwp

. 고대 및 중세 : 아리스토텔레스 - 정신과 물질의 상호관계가 미분화된 상태

 a. 근대 (고전물리학) : 뉴턴, 데칼트 - 정신과 물질의 엄격한 분리. 자연현상의 객관성과 실재성. 관찰자와 무관한 자연법칙

 b. 현대 (20세기 물리학 : 상대론과 양자물리학)

: 아인시타인, 하이젠버그, 쉬뢰딩거.- 정신과 물질의 분리. 자연법칙과 인식에 있어서 관찰과 관찰자의 중요성

 . 미래의 과학 전망 - 정신과 물질(심리학과 물리학)의 통합적 접근.

이상의 큰 틀을 염두에 두고 먼저 근대과학인 고전물리학의 과학철학적 관점을 요약하고, 20세기 물리학의 위치를 아주 간략하게 짚어본 후, 미래의 과학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글은 필자의 졸저 물리학과 대승기신론(1999. 서울대학교 출판부)의 내용에서 일부 (pp.63-66; pp.121-129) 발췌한 것이다.

 

'과학철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전자 재조합  (0) 2009.06.10
과학으로 본 전오식(前五識)  (0) 2009.06.10
면역체계의 신비  (0) 2009.06.10
DNA와 컴퓨터  (0) 2009.06.10
DNA와 세포들 (DNA and Cells)  (0) 2009.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