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이야기

상담에 대한 유식학적 접근

현관 2009. 6. 8. 16:04

201742906.hwp

상담은 도움을 필요로 하는 내담자가 전문적 훈련을 받은 상담자와의 대면관계에서 생활과제의 해결과 사고, 행동 및 감정 측면의 인간적 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학습과정이다(이장호, 1995:3). 이 정의에 의하면 상담의 목적은 생활과제의 해결과 인간적 성장에 있다. 일반적으로 상담의 영역은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정보와 조언을 제공하는 생활지도 영역과 심각한 성격장애를 다루는 심리치료 영역의 중간에 위치하며, 상담의 주요 목적은 심리적 갈등을 완화하고 사회 적응적인 행동과 태도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런 상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담자들이 많이 활용해 온 대표적인 상담이론은 정신분석학, 분석심리학, 행동주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인지치료이다.

기존의 여러 상담이론들은 각기 독특한 방식으로 상담의 여러 영역에 기여하면서도 일정한 제한점을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신분석학은 심층심리의 이해를 돕고 다양한 심리해석 기법을 제공하였지만 사용하는 개념의 모호성과 치료효과의 불확실성 및 비관적 결정론적 인간관으로 인하여 인간에 대한 이해에 한계를 보인다고 평가된다. 융의 분석심리학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에 비하여 좀 더 확대된 형태의 심층심리 이론이지만 고도로 성숙한 인격의 성취에 대한 이해에는 미흡하다.

행동주의는 학습이론에 의거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행동수정 방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