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시(초기)불교는 통상 석가모니 부처님의 성도로부터 입멸 후 100년까지의 사이의 불교를 가리킨다. 이것은 인도 불교사의 시대적 구분에서 볼 때, 상좌부와 대중부두 두 개의 부 파 로 분 열 하 기 까 지 의 불교를 의미한다 . 다시 말하면 불교가 성립하여 그 초기 교단에 아직 분파가 생겨나지 않은 시대의 불교를 원시불교라고 보는 것이다. 원시불교의 교리를 이해하기 위한 자료는 아함경(阿含經)이다, 아함경은 그 수효가 거의 3천 종에 달하여 여러 형식과 내용으로. 된 많은 경전으로 되어 있다. 이들은 빨리(pali)어와 한역경전(漢譯經典)으로 된 원전이 있어,빨리어의 원전은 남전불전(南傳佛典)으로 니까야(Nikaya)라고 하고, 한역경전은 아함경 (Agama)이라고 부른다. 원시불교의 교리는 이러한 원시 ‘경장(經藏, Sutta-pitaka)’과 ‘율장(律藏, Vinaya-pitaka)’등에 설해져 있다. 부처님의 가르침이 구전(口傳)단계를 지나서 빨리어 삼장(三藏)이 문자화 되었던 것은 기원전 1세기경 스리랑카의 밧따가미니 아바야(Vattgaminl Abhaya)왕 시대였다고 학자들은 추정한다. 원시불교의 성전이 정리된 것으로서는 빨리어 삼장(三藏)과 이에 해당하는 한역삼장(漢譯三藏)이 있다....
'일반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래의 참뜻 (0) | 2009.05.11 |
---|---|
자아초월적 배경에서 본 의식의 기본구조와 심우송 (0) | 2009.05.11 |
아함경의 성립배경과 잡아함의 현대적 고찰 (0) | 2009.05.09 |
한국의 불교수용과 사상적 의의 (0) | 2009.05.09 |
초기불교와 인도고대 종교와의 관계 (0) | 200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