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이야기

고대 회의주의의 변천과 재발견

131192.pdf


고대 회의주의의 변천과 재발견

인식론적 접근에 집중하는 현대 회의주의와 달리,"판단유보와 마음의 평화를 지향하는 고대 회의주의는 삶에 대한 지적인 태도

와 그것의 즉각적인 실천을 강조한다. 헬레니즘에서 르네상스까지 고대 회의주의의 전승사를 통하여 서구 철학사에서 고대 회의

주의가 가진 유의미성을 고찰하였던 본 연구는 다음 3가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헬레니즘 시기 고대 회의주의는 삶에 대한 기술로 정립되었다. 고대 회의주의에는 크게 2가지 큰 흐름이 있었는데 하나는 

아르케실라오스와 카르네아데스로 대표되는 아카데미 회의주의가 있고,다른 하나는 피론과 아이네시데모스 그리고 섹스투스 엠피

리쿠스로 대표되는 피론주의 회의주의가 있다. 이후,아카데미 회의주의는 키케로를 거쳐 솔즈베리의 요한네스에게 이어지고,

피론주의 회의주의는 몽테뉴에 의해서 새롭게 부활하여 번성하였다.

둘째,중세 시대에 고대 회의주의는 망각과 재인식의 역사를 갖는다. 기독교적 신에 대 한 믿음과 초월적 실재론으로 인하여,

회의주의는 탐구와 장려의 대상이 되기보다는,견제와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그 선봉에 섰던 사람이 바로 이우구스티누스였다. 

아카데미 회 의주의에 대한 그의 강력한 비판으로 인하여,서구 사회에서 회의주의는 부정적 인식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12-3

세기 아카데미 회의주의의 정신을 재발견한 솔즈베리의 요한네스와 인간 인식에 대한 회의주의적 작업을 시도하였던 겐트의 헨리

쿠스의 등장 이후,서구 사회는 고대 회의주의를 새롭게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셋째,이탈리아 르네상스에 고대 회의주의는 재발견된다. 14-5세기의 플레톤과 필렐포는 회의주의 연구의 발판을 마련하였으며,

1562년 스테파누스에 의해서 번역된 섹스투스 엠피리쿠스의『피론주의 개요』는 온전한 의미에서 피론주의 회의주의 연구를 가

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번역작업에 힘입어 몽테뉴는 피론주의 회의 주의에 기반한 자신의 독자적인 철학을 전개하였다.『수상록』

은 그의 걸작이며,그 책의 제2권 제12장 “레몽 세봉을 위한 변명은 회의주의적 사변의 결정체이다.

결론적으로 철학은‘광기’와‘독단’에 맞서 인간 정신의 자유와 평화를 지향해야 한다 고대로부터 현대까지 고대 회의주의는 

철학의 이러한 본질적 가능을 성실히 수행해왔다. 이런 점에서 21세기에도 고대 회의주의의 유의미성은 지속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