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중심 이성주의의 종말 선언
20세기는 인류사에서 문제가 가장 많았던 한 세기다. 문제가 많았던 시대에는 그 문제를 갖고 씨름을 했던 사상가도 많은 법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통크게 <거대 이야기>를 펼친 사상가는 단연 마르틴 하이데거 (1889-1976)이다. 2,500년의 서양 철학사에 종말을 선언하며 새로운 세기를 맞을 준비를 해야 한다고 선포했으니. 왜 서양 형이상학은 종말에 와 있는가? 이성 중심이고 존재자 중심이고 인간 중심이기 때문이다. 서양 사유의 태동기에 인간의 사유능력에는 흔히 표상적 사유라 불리는 <셈하는 사유>뿐 아니라 존재〔있음〕의 의미를 읽어내는 <뜻새김 사유>까지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존재하는 것 전체에 대한 인간의 대응능력으로서 <근거 있는 말함(로고스, 이성)>만이 전면에 부각되고 시와 신화가 그늘에 가려지면서 서양 형이상학의 역사는 존재 왜곡, 존재 축소, 존재 망각의 길로 들어섰다. 이러한 로고스(이성) 중심적인 형이상학은 그 로고스의 만개를 현대의 기술과 과학에서 본다. 기술화되고 과학화되고 산업화되고 정보화된 현대에서 형이상학은 <완료>된 셈이다.
'철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신이원론에서 선험적 신체일원론으로 (0) | 2009.11.13 |
---|---|
魂의 實體性에 關한 考察 (0) | 2009.11.03 |
인과개념의 철학적 분석 (0) | 2009.09.28 |
의식과 환원 (0) | 2009.09.28 |
실존철학의 인간이해 (0) | 2009.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