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철학이야기

가이아-살아있는 생명체로서의 지구

1302076046_0001.pdf

 

제임스 러브록의 『 가이아 』살아있는 생명체로서의 지구
지구는 생명체가 살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춘 행성이다. 이러한 행성이 우연히 만들어졌고 그 우연한 행운으로 해서 생명이 출현할 수 있었는가? 그 최적의 조건이 우연히 갖추어졌다고 한다면 그것은 거
의 기적에 가깝다. 우리 지구가 얼마나 있을 법 하지 않은가를 보자. 우선 무엇보다도 대기의 조성이 자연상태에서 만들어지는 상태에서
벗어나도 한참 벗어나 있다.

우선 대기의 조성이 그렇다. 현재 지구 대기 속의 기체성분인 메탄가스, 아산화질소, 심지어는 질소 가스 등은 1010배이상 화학평형에서 벗어나 있다.

지구가 열역학적 평형상태에 도달했을 때 예상되는 대기의 구성성분과 현재의 대기성분을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대기가 화학평형에 도달하면 대부분 이산화탄소로 된다.
그런데 우리의 현실의 지구는 질소와 산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확연히 구분된다. 실제 금성이나 화성은 이런 화학평형을 보이고 있다. ......